Sunday, February 21, 2010

우리 연구소의 티스푼은 얼마나 빠르게 사라지나?

http://www.bmj.com/cgi/content/full/331/7531/1498?view=long&pmid=16373727

'연구소에서 티스푼은 얼마나 빠르게 사라지나? ' 에 대한 연구 논문이 BMJ(British medical journal) 라는 저널에 2005년에 게제되었었다. 메인스트림의 과학적 질문과는 다분히 거리가 멀어 보이는 이 연구가 Impact factor 가 12나 되는 의학 저널에 실렸다. 의학적으로도 이 연구가 그리 연관성이 있어보이지 않는데...

연구 내용을 정리해 보면,

* 연구 장소 : 140명 정원의 연구소 .

* 연구 내용 : 70개의 티스푼을 순서메겨 이름표를 표시하여, 5개월간 이들의 행방 추적.

* 연구 결과 :
1)80%의 티스푼 ( 70개 중 56개) 가 연구기간 중 사라짐.
2)티스푼의 품질은 티스푼 사라짐 정도와 무관함.
3)사라지는 속도로 고려해 볼 때, 이 정도 규모의 연구소에서는 연간 250개 티스푼이 필요하다고 추정됨.

연구소에서 티스푼은 office material로 필수적인 것이기 때문에, 티스푼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이런 연구가 의미있다라고 생각해 볼 수 있을까? 의학적인 성과라면, 의학 연구 기관 종사자들이 안정적으로 차를 타마실 수 있는 안정적인 티스푼 공급량을 산출했다라고 할 수 있을까 ? ㅋ

이런 식의 연구가 필요한 분야가 있을 것 같긴 하다. 생활과학 관련 분야? 티스푼 생산 업종 관련 기업의 연구소 등. 이 논문의 footnote를 보면 유사 연구도 많고, citation 된 횟수도 7회 정도로 된 걸 보면, 이런 연구를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 같기도 한데, 확신은 못하겠다.

여튼, 이런 식의 다소 엉뚱한 연구들이 수행되고, 논문으로 publish 될 수 있는 문화적 토양이 튼튼한 사회들이 참 부럽다. 창의적이란건 사실 정말 별게 아니다. 그저 스스로 재밌어 보이는 일련의 path를 따라가면 자연스럽게 남들과 다른 독특한 사고를 할 수 있고, 시도를 하게 된다. 우리 나라에선 이런 창의적인 사고도 결국 '성과' 지표의 일환으로 연결 될 때, 의미있는 것으로 판단되지만, 이러한 엉뚱해 보이는 연구들이 시도조차 될 수 없는 peer pressure가 존재하는한, 그 어떤 과학 부흥 정책도 정말 정책 입안자들이 원하는 '돈되는 성과'로 나타나긴 요원한 일이다.

No comments:

Post a Comment